![[자바 #10] 배열(Array) 타입](https://image.inblog.dev?url=https%3A%2F%2Finblog.ai%2Fapi%2Fog-custom%3Ftitle%3D%255B%25EC%259E%2590%25EB%25B0%2594%2B%252310%255D%2B%25EB%25B0%25B0%25EC%2597%25B4%2528Array%2529%2B%25ED%2583%2580%25EC%259E%2585%26tag%3DTemplate%2B1%26description%3D%26template%3D3%26backgroundImage%3Dhttps%253A%252F%252Fsource.inblog.dev%252Fog_image%252Fdefault.png%26bgStartColor%3D%25233f0707%26bgEndColor%3D%25233f0707%26textColor%3D%2523000000%26tagColor%3D%2523000000%26descriptionColor%3D%2523000000%26logoUrl%3Dhttps%253A%252F%252Finblog.ai%252Finblog_logo.png%26blogTitle%3DGyeongwon%2527s%2Bblog&w=2048&q=75)
배열은 같은 타입의 값만 관리하고, 배열의 길이는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1. 배열 변수 선언
- 타입[] 변수; (관례적으로 많이 사용함)
- 타입 변수[];
int[] intArray;
double[] doubleArray;
String[] stringArray;
배열 변수는 참조 변수이다. 배열도 객체이므로 힙 영역에 생성되고 배열 변수는 힙 영역의 배열 주소를 저장한다. 참조할 배열이 없다면 null로 초기화 가능하다.
2. 값 목록으로 배열 생성
- 타입[] 변수 = { 값0, 값1, 값2, 값3, …};
String[] season = { "Spring", "Summer", "Fall", "Winter" };
season[1] = "여름"; // 대입 연산자를 사용해서 "Summer"을 "여름"으로 변경
중괄호 {}로 감싼 값의 목록을 배열 변수에 대입할 때 주의 점이 있다. 배열 변수를 미리 선언한 후에도 값 목록을 변수에 대입할 수 없다.
타입[] 변수;
변수 = { 값0, 값1, 값2, 값3, …}; // 컴파일 에러
변수 = new 타입[] { 값0, 값1, 값2, 값3, …};
String[] names = null;
names = new String[] { "신용권", "홍길동", "김자바"};
메소드의 매개변수가 배열 타입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void printItem(int[] scores) { ... }
printItem( { 95, 85, 90 } ); // 컴파일에러
printItem( new int[] { 95, 85, 90 } ); // 올바른 메서드 호출
3. new 연산자로 배열 생성
값의 목록은 없지만 향후 값들을 저장할 목적으로 배열을 미리 생성할 수도 있다.
타입[] 변수 = new 타입[길이];
int[] intArray = new int[5];
String[] names = new String[30];
int[] 배열은 모두 0으로 초기화 된다.
String[] 배열은 모두 null로 초기화 된다.
정수 배열은 0, 실수 배열은 0.0, 논리 배열은 false, 참조 배열은 null로 초기화된다.
4. 배열 길이
- 배열변수.length;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