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n-Premise vs Off-Premise
🏢 On-Premise (온프레미스)
- 정의: 기업이 직접 물리적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를 보유하고 자체 데이터센터에서 운영하는 방식.
- 특징:
- 서버 설치/운영/보안까지 모두 기업이 관리.
- 초기 구축 비용(하드웨어 구매, 전기/공간, 인력)이 매우 큼.
- 데이터와 보안 제어권 100% 보장.
- 예시: 회사 지하에 자체 서버실 운영.
☁️ Off-Premise (오프프레미스)
- 정의: 외부 사업자(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인프라를 빌려 쓰는 방식.
- 특징:
- 초기 구축 비용이 적음 (필요한 만큼만 과금).
- 유지보수 부담 적고, 확장성 뛰어남.
- 다만 보안/제어권은 일부 제한적.
- 예시: AWS, Azure, GCP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2. IaaS vs PaaS vs SaaS
클라우드 서비스는 보통 사용자가 어디까지 관리하는가에 따라 나뉜다.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정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같은 인프라를 빌려 쓰는 모델.
- 사용자 책임: 운영체제(OS), 런타임,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관리.
- 장점: 자유도가 크고 원하는 환경을 직접 구성 가능.
- 예시: 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Azure VM.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정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플랫폼(운영체제, 런타임, 미들웨어)까지 제공하는 모델.
- 사용자 책임: 애플리케이션 코드만 관리하면 됨.
- 장점: 배포와 운영 단순화, 빠른 개발.
- 예시: 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Heroku.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정의: 소프트웨어 자체를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형태로 제공.
- 사용자 책임: 없음. 그냥 접속해서 쓰기만 하면 됨.
- 장점: 설치 필요 없음, 즉시 사용 가능, 유지보수 부담 없음.
- 예시: Gmail, Slack, Zoom, Dropbox, Salesforce.
3. AWS란?
☁️ AWS (Amazon Web Services)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수백 개의 서비스(IaaS, PaaS, SaaS 포함)를 제공.
- 대표 서비스:
- IaaS: EC2 (가상 서버), S3 (스토리지), VPC (네트워크)
- PaaS: Elastic Beanstalk (앱 배포 플랫폼), RDS (관리형 DB)
- SaaS: WorkMail, Chime 등 일부 서비스
🔑 AWS의 장점
- 확장성: 트래픽이 늘면 자동으로 서버 증설 (Auto Scaling).
- 비용 효율: 사용한 만큼 과금 (Pay as you go).
- 글로벌 인프라: 전세계 리전/가용영역에서 빠른 배포 가능.
- 다양한 생태계: 서버리스(Lambda), AI/ML 서비스, DevOps 툴까지 지원.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