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 #6] 테스트 코드 작성 및 패턴](https://image.inblog.dev?url=https%3A%2F%2Finblog.ai%2Fapi%2Fog-custom%3Ftitle%3D%255B%25EC%258A%25A4%25ED%2594%2584%25EB%25A7%2581%25EB%25B6%2580%25ED%258A%25B8%2B%25236%255D%2B%25ED%2585%258C%25EC%258A%25A4%25ED%258A%25B8%2B%25EC%25BD%2594%25EB%2593%259C%2B%25EC%259E%2591%25EC%2584%25B1%2B%25EB%25B0%258F%2B%25ED%258C%25A8%25ED%2584%25B4%26tag%3DTemplate%2B1%26description%3D%26template%3D3%26backgroundImage%3Dhttps%253A%252F%252Fsource.inblog.dev%252Fog_image%252Fdefault.png%26bgStartColor%3D%252323ec86%26bgEndColor%3D%252323ec86%26textColor%3D%2523000000%26tagColor%3D%2523000000%26descriptionColor%3D%2523000000%26logoUrl%3D%26blogTitle%3DGyeongwon%2527s%2Bblog&w=2048&q=75)
1. 테스트 파일 생성

2. Given (준비)
테스트 환경과 데이터를 세팅하고, 테스트 대상 객체, 입력값 등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3. When (실행)
실제 테스트하려는 메서드 호출하고,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한다.
4. Then (검증)
결과값을 검증한다. 예상한 값과 실제 값을 비교한다.
5. Eye (가독성 / 명확성)
임의로 만든 것. “사람 눈으로 봤을 때 직관적으로 테스트 목적이 드러나야 한다.
6. 예시 코드

- @Test를 꼭 붙여줘야 한다.
- 메서드별로 단위로 테스트가 가능하다.
- 조금 귀찮더라도 하는 습관을 들이면 나중에 규모가 큰 프로젝트 진행할 때 유리할 듯 하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