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7] 볼륨

컨테이너가 꺼져도 살아남는, 외부 저장소 도커 볼륨 개념 및 실습을 정리하였습니다.
도경원's avatar
Jul 31, 2025
[도커 #7] 볼륨

1. 도커 볼륨(Docker Volume)

도커 볼륨은 컨테이너가 꺼져도 살아남는, 외부 저장소(디스크 공간)이다.
컨테이너가 종료되면 그 안에 있는 파일도 같이 사라진다.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려면 외부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볼륨이 등장했다.

2. 도커파일(Dockerfile)에서 실습

notion image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t mydb2 . // 이미지 빌드

도커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 -d \ -p 3307:3306 \ -e MYSQL_ROOT_PASSWORD=cos1234! \ -v mydb-data:/var/lib/mysql \ mydb
-d : detached 모드 (백그라운드 실행)
-p 3307:3306 : 호스트의 3307 포트 → 컨테이너의 3306 포트로 연결, MySQL 기본 포트는 3306이므로, 내 PC에서 localhost:3307로 접속
-e MYSQL_ROOT_PASSWORD=cos1234! : 환경변수 설정 → MySQL의 root 비밀번호를 cos1234!로 설정
-v mydb-data:/var/lib/mysql : 도커 볼륨 연결 mydb-data라는 이름의 볼륨을 컨테이너 내부의 /var/lib/mysql 경로에 연결 → DB 데이터가 여기에 저장되고, 컨테이너가 꺼져도 살아남음 \ :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줄바꿈해도 한 줄처럼 이어지게 해주는 연결자
notion image

3. 도커 볼륨 명령어

목적
명령어
볼륨 생성
docker volume create mydata
볼륨 목록 보기
docker volume ls
볼륨 상세 보기
docker volume inspect mydata
볼륨 삭제
docker volume rm mydata

4. 볼륨 사용의 예시

  • DB, 로그, 업로드 파일 등 데이터가 유지돼야 하는 서비스
  • 호스트와 파일 공유하고 싶을 때 (소스코드 hot reload)
  • CI/CD 파이프라인에서 캐시 저장
Share article

Gyeongwon's blog